아파트 공시지가조회
쉽게 따라하기
이번 달 공시지가 인상안이 발표되면서
후폭풍이 거센 상황입니다.
너무나 터무니 없이 많이 오른 지역도 있고,
같은 아파트 단지여도 어디는 덜 오르고
어디는 훅 올르는 등 차이가 큰 곳도 있고,
또 공시지가 산정 기준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서 주택 보유자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공시지가란 ?
공시지가는 각종 세금의
기준으로 삼는 가격입니다.
공시지가 9억원을 초과하면
종부세(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합니다.
이번에 공시지가 인상으로 여러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지만 그중에서 건보료 자격이
박탈되면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는 경우가
그중 하나입니다.
1 주택자이면서 정년에 은퇴한 사람이
자녀의 건강보험에 피부양자로 등록해서
건강보험료(건보료)를 납입하지 않으면서
그동안 소소하게 부업을 하면서 지냈는데
이번에 자신이 보유한 아파트의
공시지가가 9억을 초과하면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건강보험료까지
내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벌어들이는 소소한 부수입을 건강보험료를
내야 하는 꼴인 것이죠.
여러 문제들이 발생해서 정부에서는
4월 5일까지 공시지가 관련 의견을
받는다고 합니다.
의견 제시하실 분들은
4월 5일까지
'부동산 공시 가격 알리미'
사이트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아파트 공시지가조회
내가 살고 있는 빌라,
아파트의 공시지가는
전년도와 비교해서 얼마나 올랐는지
아파트 공시지가조회 방법에 대해서
아주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번호 순서대로 하나씩 따라와 주세요.
(준비물은 없습니다.)
아파트 공시지가조회 방법
1.
다음 검색창에
'아파트 공시지가 조회'를 검색하시면,
부동산 공시 가격 알리미 사이트가 있습니다.
클릭해서 들어가 주세요.

2.
빨간색으로 밑줄 그은 것 보이시죠?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한번 눌러주세요.

3.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실 거예요.
왼쪽은 2021년 1월 1일 기준으로
현재 인상된 공시지가 가격을 볼 수 있고요,
오른쪽은
2005년부터 2020년 6월 1일 기준의
인상되기 전의 공시지가를 볼 수 있습니다.
왼쪽의 노란색 줄이 쳐진
'2021년 1.1 기준'을 한번 클릭합니다.

4.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이 곳에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나 빌라의
주소를 선택하면 인상된 공시지가 조회가
되는데요,
주소 검색은 도로명검색과 지번검색
2가지가 있어요.

5.
이제 내가 알아보고 싶은 아파트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여기서 잠깐만요!!
도로명과 지번까지 정확하게 알고 계시다면
바로 클릭하셔서 조회하시면 되지만
정확한 주소를 모르신다면
인터넷 검색창에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이름을 쓰시면
도로명과 지번주소가 나옵니다.
(서울 oo구 000아파트까지 쓰시면 되요)

예를 들어
강서구에 있는 강서힐스테이트의
공시지가 조회를 원하신다면
인터넷 검색창에
강서구 강서힐스테이트라고
이 정도만 써도 주소가 나옵니다.
강서힐스테이트 도로명은
강서구 우현로 67이고,
지번은 화곡동 1165라고 나오네요.
6.
이제 정확한 주소를 알았으니
도로명주소로 하나하나 클릭해줍니다.
서울시 클릭
강서구 클릭
o(우현로) 클릭
우현로 찾아서 클릭
단지명에 아파트 찾기
내가 거주하는 동과 호수 클릭
공동주택 가격(안) 확인 클릭

7.
아래 화면처럼,
내가 알고 싶은 아파트 혹은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공시지가조회가 끝났습니다.

'정책, 손해보지않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생소비지원금 신청방법, 카드사용처, 국민지원금 (0) | 2021.10.01 |
---|---|
노원구 재난지원금 2021년 추가지원 신청방법 (0) | 2021.04.30 |